| 문제집 | 만든이 | 문제수 | 조회수 | 좋아요 | 생성 | 수정 | 공개 |
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| 블록 코딩 : 06. Logics | 관리자 | 0 | 4418 | 0
| 2019-02-07 01:16:11 |
2019-02-17 14:25:55 |
2019-03-31 23:56:12 |
논리값
논리값에는 true (참), false (거짓)이 있으며, 조건 구조의 블록과 반복 구조의 블록에서 사용된다. 다음의 예를 확인해 보자.

변수 x가 100보다 크다면, 조건은 true (참)이 되고, 텍스트 "What a big number!"가 출력된다. 만약 변수 x가 100보다 작으면, 조건은 false (거짓)이 되고, 텍스트 "That's not very big."을 출력한다.
논리값은 수치값이나 텍스트값, 리스트 처럼 변수에 저장할 수 있고, 함수의 매개변수로 전달할 수 있다.
논리 블록
논리값을 삽입해야 하는 블록의 경우, 논리값을 삽입하지 않으면 false (거짓)으로 인식된다. 논리 블록에 논리값이 아닌 다른 값은 삽입되지 않는다. 논리값은 다음의 그림처럼 true, 또는 false를 선택할 수 있다.

비교 연산자
비교 연산자에는 다음과 같이 6가지가 있으며, 보통 2개의 수치값을 비교해서 true, 또는 false 값을 반환한다. 6개의 비교 연산자에는 '같다', '같지 않다', '크다', '크거나 같다', '작다', '작거나 같다' 가 있다.

and 블록은 2개의 비교 연산자의 값이 모두 ture이어야 true를 반환한다.
![]()
or 블록은 2개의 비교 연산자의 값이 어느 하나가 true이면 true를 반환한다.
![]()
not 연산자
not 연산자는 논리값을 반전시킨다. 다음의 블록에서의 최종 값은 false 이다.
![]()
다음의 블록처럼 논리값이 주어지지 않으면, 주어진 논리값을 true 로 가정하고, false를 반환한다. 그러나 not 연산잔에 빈 공란을 두는 것은 비추천이다.
![]()
| 코드 | 제목 | 시간(초) | 메모리(MB) | 나의판정 | 소스 | 제출 회 | 통과 회 | 비율(%) | 시도 명 | 성공 명 | 비율(%) | ||
